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의 가입대상과 혜택, 그리고 2025년에 변경되는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일정기준을 충족한 청년들이 5년동안 한달에 70만원까지 납입했을 경우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형성할 수 있는 통장입니다.
일반적금보다 높은 최대 6% 이자율을 지원해주며 스스로 납입하는 금액에 정부가 기여금을 보태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정부 기여금은 아래 표로 확인해보겠습니다.
가입조건
- 가입 조건 (나이) : 19 ~34세 청년
- 소득 조건 :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는 사람
- 제한 조건 : 연소득 7500만원
- 제한 조건 :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으로 250%이하
특히나 기존에는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80%였으나 올해 250%로 완화 되었습니다.
작년에 중위소득을 충족하지 못해 가입하지 못하신 분들은 다시한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 중위소득 250% (23년 소득기준)
- 1인가구 : 6233만 6760원
- 2인가구 : 1억 368만 4650원
- 3인가구 : 1억 3304만 4480원
- 4인가구 : 1억 6202만 8920월
은행별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시중은행에서 딱 1개의 계좌만 만들 수 있으며
은행별로 적용하는 우대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신중하게 신청하여야 합니다.
아래는 은행별 혜택정리사항입니다.
- 국민은행 : 급여이체 36개월 이상 일 경우0.6%p, 자동납부 시 0.3%p
- 우리은행 : 가입기간의 50%이상 급여이체할 경우(1%p), 신규가입 시 0.5%p, 우리카드 사용 실적이 있다면 0.5%p
- 하나은행 : 급여이체 36개월 이상일 경우 0.6%p, 하나카드 사용 실적이 있다면 0.2%p, 첫거래인 경우 0.5%p
- 농협은행 : 급여이체 50개월 이상일 경우 0.5%p, N농협카드 월평균 20만원 이상 사용 시 0.2%p
- 신한은행 : 급여이체 30개월 이상일 경우 0.3%p, 신한카드 결제 30개월 이상인 경우 0.3%p, 첫거래인 경우 0.4%p
- IBK기업은행 : 급여이체 36개월 이상인 경우 0.5%p, 공과금 자동이체 36개월 이상인 경우 0.2%p, 카드 사용액 연평균액으로 200만원 이상 0.2%p, 첫거래인 경우 0.3%p
- IM뱅크 : 마켓팅 동의 한 경우 0.3%p, 주택청약 보유한 경우 0.5%p, 자동이체 횟수 30회 이상 0.7%p
- 부산은행, 광주은행 : 급여이체 30개월 이상인 경우 0.5%p, 첫거래인 경우 0.5%p, 가입기간 내에 카드 실적이 총 500만원 이상인 경우 0.5%p
- 전북은행 : 가입기간 50%이상 급여이체한 경우 0.7%p, 자동이체 이용시 0.3%p, 카드 이용 시 0.5%p, 마켓팅 동의 한 경우 0.2%p
- 경남은행 : 가입기간 50% 이상 급여이체 한경우 0.7%p, 주택청약 보유한 경우 0.4%p, 첫거래인 경우 0.4%p
2025년 변경되는 사항
1. 긴급인출제도
다른 은행의 예,적금처럼 청년도약계좌도 긴급인출 기능을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납입한 금액의 최대 40%까지 인출이 가능합니다.
2. 신용점수 10점
가입기간이 2년이 넘는 동안 800만원 이상 납입하면 신용점수가 최대 10점 올라갑니다.
이외에도 초기 시행된 부분 에서 강화,변경된 사항이 있으니 아래 이미지 참고 부탁드립니다.
'국가지원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업성공대출 지원대상 및 한도 알아보기 (3) | 2023.12.17 |
---|---|
경기청년 기회사다리금융 대상자 및 신청방법 (1) | 2023.11.08 |
디딤돌 대출 자격 및 금리 총정리 (6) | 2023.08.05 |
청년일자리 도약 장려금 신청방법 및 신청대상 총정리 (12) | 2023.07.18 |
경기도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 신청금액 및 신청방법 (0) | 2023.07.10 |